본문 바로가기

사회초년생 주식 정보

[미국주식 정보] 미국주식 추천 사이트 Finviz 핀비즈 사용법 및 활용법!

반응형

 

 

모든 미국주식 주가를 한 눈에 볼수 있고 1)미국 주식시장 전체에서 해당 종목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

2)해당 종목의 다양한 뉴스, 3)투자자들 의견, 4)재무제표를 통한 주가 분석 5)원하는 종목 필터링

이 모든걸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사이트.

 

 

Finviz 핀비즈.

 

 

한글로 되어있는 해외주식 정보는 얻기 어렵기에 다소 발로 뛰어서 정보를 모아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영어 공부를 하고, 내가 산 주식의 정보를 스스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공부라고 생각하면 

이런 약간의 수고스러움도 앞으로 평생 주식 투자자로서 나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먼저 핀비즈 finviz 사이트는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된다. 

https://finviz.com/

 

FINVIZ.com - Stock Screener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finviz.com

 

 

 

처음 들어갔을 때 많은 영어 글자 때문에 번거롭고 복잡해 보일 수 있는데 핀비즈 사이트에서는

딱 요내용만 알면 앞으로의 미국주식 생활이 편-안해진다. 그리고 사이트 자체가 영어라

그렇지 많이 복잡하지도 않고 원하는 정보만 얻을 수 있어서 좋다. 그럼 같이 시작해볼까!

 

 

 

나는 나의 첫 종목인 넷플릭스(NFLX)로 한번 핀비즈 finviz 사이트를 활용해 보겠다.

 

 

 

핀비즈의 첫 접속화면! 굉장히 복잡해보이지만 알고보면 쉽다.

 

 

 

먼저 핀비즈 finviz 사이트에 접속하면 요렇게 메인화면이 뜬다.

나는 넷플릭스(NFLX)가 전체 미국 주식시장에서 어느정도 비율을 차지하는지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해당 종목이 S&P500 / 해당 산업군 에서 차지하는 비중

 

전체 산업에서 넷플릭스가 차지하는 비율

 

 

 

제일 상단에서 <Maps>라고 적힌 메뉴를 클릭해주면 된다. 그러면 전체 산업군의 주식들이 비율이 보이는데

저기 보이는 네모 크기가 해당 주식의 총 자산의 크기다. 미국주식은 각 주식이 해당되는 업종이 있는데

그중 내가 찾고자하는 넷플릭스(NFLX)는 Service 업종이고  찾아보니 아마존이나 월마트보다는 작지만

그래도 나름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네모칸에서 해당 종목의 이름이 보이는 정도면 꽤나 큰 규모인것이다.

 

 

종목의 티커를 찾아 클릭하니 넷플릭스의 주가, 주가 등락률을 보여준다. 당시 넷플릭스의 주가는 417.20 달러였고

현재 등락률은 1.24%로 오르고 있었다. (참고로 미국주식은 빨간색이 하락, 초록색이 상승이다. 이 점이 한국과 다르니 유의!)

그리고 같은 업종의 경쟁사의 주가와 주가 등락률도 보여준다. 경쟁사인 CHTR의 주가는 491.50이며 0.84% 정도 하락했음을 알수 있다.

 

 

 

요렇게 버블 형태로도 보여준다.

 

상단에 <Maps>가 아닌 <Bubbles>를 누르면 요렇게 풍선 모양으로도 변환이 되는데,

사실 네모 형태보다는 활용도가 떨어져서 나는 잘 보지 않는다.

 

 

 

2. 전체적인 정보 확인

주식의 꽃은 재무제표 확인이라 하던데, 아직도 공부하고 있을정도로 매우 어렵다.

하지만 핀비즈가 어느정도 계산을 해준 값을 보여줘서 한 결 편하게 볼 수 있음!

나는 핀비즈 finviz를 재무제표를 통한 주가 분석을 하고 싶은데,

1)일일이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를 찾아서 내가 계산하거나, 다른 사이트에서 개별로 각각 찾기 귀찮을 때,

2)한 번에 모든 정보를 훑어보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한다. 

 

 

 

먼저 상단의 검색창에서 원하는 종목의 티커를 작성하면 된다.

나는 넷플릭스를 검색하고 싶으니 NFLX 라고 적겠다.

복잡하지 않고 티커 한번만 적어주면 바로 이렇게 창이 뜬다.

 

 

 

핀비즈에서 요렇게 한눈에 볼 수 있는 정보들이 깔끔하게 나온다.

 

 

 

위에 해당 종목의 주가 그래프가 있고 조금만 스크롤을 내리면 요렇게 기업 개요가 나오는데 내가 여기서 주로 보는 건 아래와 같다.

영어로 되어있어서 어려울 수도 있는데, 하나하나 차근차근 비교하면서 보면된다!

정 어렵고 회계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겠다 싶으면 <모닝스타 성공투자 5원칙>이라는 책을 추천한다.

나도 해당 책을 읽고 어느정도 재무제표 보는 것과 각 항목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당.

 

 

영어 한글 설명 넷플릭스(NFLX)
Sales 매출 21.40B
Income 이익 2.10B
P/E (price to earnings) 주가당 이익의 배수 89.17
Forward P/E 앞으로 벌어들이거라 예상하는 주가당 이익의 배수 48.31
PEG(PE/Growth) 주가배수/성장률 2.49
P/S 가격/매출 8.43
P/B 가격/순자산 21.70
P/FCF 가격/자유현금 -
ROE 자기자본이익률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 이익을 냈는지?) 30.80
ROI 투자자본이익률 (얼마를 투자하여 얼마를 벌어들였는지) 10.20

 

 

 

요렇게 사이트에서는 정보만 보여주고 해당 정보에 대해서 판단을 내려주거나 의견을 주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단순히 수치로

판단을 내리기에는 각 종목의 처해있는 기업 환경, 종목의 특수함, 기업내부 경영진에 대한 정보 등등 알수 없는 정보가 많고,

해당 수치가 주가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숫자는 가벼운 확인 용이고 해당 기업과 경쟁사에 대해서

좀 더 딥한 조사를 해야한다. (그래서 해외주식을 조사할때는 보통 사이트 5~7개 정도 켜놓고 돌아가면서 본다)

 

 

 

3. 전문가들의 매수, 매도, 보유 의견

아래에 각 금융전문가 또는 은행의 애널들이 내놓는 해당 주식의 매수, 매도, 홀딩 의견을 날짜별로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요렇게 최신날짜부터 상단에 떠서 세계의 금융전문가들은 어떤 의견을 갖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음. 사실 매번 예측이 틀리기로 유명한 곳도 있으니 그렇게 맹신하지는 않는다. 나는 적당히 나와 비슷한 생각인 전문가가 많구나, 또는 나와 다른 사람들이 많구나, 정도 확인하고 있다.

 

 

 

 

확인해보면 넷플릭스에 대해서 웰스파고는 적당한 가격이다 (Equal Weight)라고 말하고 있고

옆에 목표주가로 $460으로 내놓았던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아래에 보면

피보탈 리서치 그룹 (Pivotal Research Group)은 매수 의견을 내놓았는데

해당 의견과 함께 목표주가를 $580로 설정해두었다. 하지만 이런 의견도 시시각각 변하니

정말 참고정도로만 써야지 맹신해서는 안된다! (정확한 주가예측은 신의 영역!)

 

 

 

4. 내가 원하는 숫자로 종목 필터링해 보기: screener

그리고 마지막으로 핀비즈의 좋은 꿀팁기능 중 하나!

재무제표로 원하는 종목만 필터링해서 볼 수 있는 screener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종목고를 때 많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요렇게 내가 원하는 항목에 원하는 숫자를 적어놓으면

그에 맞는 종목들이 리스트로 나온다. 주로 내가 원하는 기업의 형태를 고를 때 많이 쓰는데,

만약 내가 성장주를 산다고 한다면 어느정도 PER이 높은 종목을 골라서 볼수 있을 것이다.

 

 

 

 

 

요렇게 finviz 사이트를 통해서 내가 원하는 기업의 산업내의 규모, 주가, 재무제표분석, 전문가의 의견, 필터링을 알아보았다.

앞서 언급했듯이 해외주식을 조사할때는 5~7개의 사이트를 동시에 켜놓고 작업을 한다.

기회가 되면 다른 사이트들도 소개해볼 예정. 그롬 긴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성투해용!

 

 

 

 

 

*해당 포스팅은 종목 추천이나 매수 권유 의도가 아님을 밝힙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