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초년생 주식 정보

[미국주식 정보] ETF투자에 유용한 사이트, ETF.com 사용법 및 활용법

반응형

 

 

 

 

 

 

 

ETF시장은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0년 전체의 자료는 아직 구하지 못했지만 지난 2020년 1분기까지의 성적을 보았을때 올해의 ETF 시장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아무래도 연준의 양적완화에 대한 기대화 낮은 금리, 시장에 대한 낙관으로 많은 자금과 신규 투자자들이 유입되었을 것. 

 

 

 

 

출처: etfgi.com

 

 

 

 

2021년은  ETF 전체 규모가 5배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투자하고 싶은 분야는 있는데 아무래도 전체 시장을 조사하거나, 개별 기업에 대해서 세세하게 파보기엔 피로도가 높다면 ETF에 투자를 하게되는듯하다.  이러한 기대에 앞서서 나는 자산운용사중의 한곳인 블랙록(BLK) 주식을 매수하기도 했다. 

 

 

블랙록이 궁금한 분은 여기로>>

 

블랙록 주식(BLK), 남들이 ETF를 살 때 ETF운용하는 회사의주식을 사자

개별 종목을 모르겠다면, ETF를 사는것도 한 방법이다. 그 중 ETF이름 중에 iShares가 앞에 붙은 ETF는 블랙록이 운용하고 있다. 아마 알게모르게 ETF에 투자하는 분이라면 블랙록에 운용 수수료를 주

swnas98.tistory.com

 

 

 

 

그래서 오늘 소개드릴 사이트는 ETF를 찾고, ETF끼리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이트인 ETF.com (ETF닷컴)이다. 짝짝. 정직한 홈페이지 이름. 다음 기능을 살펴볼 예정이다.

 

 

[ETF.com 활용하기]

1.원하는 조건의 ETF 찾기

2.ETF와 ETF 비교하기

 

 

 

 

 

 


[미국주식 정보] ETF투자에 유용한 사이트, ETF.com 사용법 활용법

2021/01/02

 

 

 

[ETF 찾기 전 생각하면 좋을 항목]

1.내가 투자하고 싶은 국가(지역)

2.내가 투자하고 싶은 분야

3.내가 투자하고 싶은 종목

4.내가 투자가능한 가격대

5.원하는 수익율 / 감당가능한 하락율

 

 

 

검색을 하기 이전에 내가 원하는 투자 밑그림을 그려두면 좋다. 오늘 나는 이머징 마켓에 대한 주식투자를 원하니 나의조건은 1) 이머징 마켓 투자(일본 제외) 2)주식배분 3)최대한 높은 이율(퍼포먼스) 4)최대 하락폭이 MDD 35%의 고위험 투자 5)테크주와 경기민감주의 고른 분배를 생각해 두었다. 

 

 


 

 

1.상단의 ETF Tools & Data에서 ETF Screener & Database클릭

 

 

 

 

 

 

좌측에 ETF를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나온다. 전체를 보니 미국 시장에서 살 수 있는 ETF는 총 2385여개가 있다. 

 

 

 

 

 

 

 

 

1.Classification-Asset Class: 자산의 종류

- Alternative: 주식, 채권 또는 현금을 제외한 모든 대안투자

- Asset Allocation : 자산 분배

-Commodities: 원자재 곡물 등의 상품

 

등등 부동산, 자산분배, 곡물, 원자재등의 상품을 고를 수 있는데, 주식 상품을 분배하고 싶다면 Equity로도 충분하다. 더 폭넓은 상품을 보고 싶다면 따로 체크하지 않고 전체검색을 하기도 한다.

 

 

 

2.Location: 지역

-Region: 대륙별

-Geography: 국가

-Economic Development: 경제발전 상태

 

세가지 분류가 되어있다. 나는 이머징마켓이라는 구체적인 단어를 가지고 있어서 Economic Development의 Emerging market을 선택하였다.

 

 

 

3.Analysis: 분석

-Alnalyst Pick: 애널리스트들의 선택

-MSCI ESG Rating: ESG 등급 (CCC~AAA까지)

-Dividend Yield: 배당금 수익

-P/E

 

 

여러가지 항목이 있지만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이나 최근에 핫한 ESG항목 점수, P/E수치 등등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유용하게 쓸만한 항목만 위에 적어두었다. 아무래도 배당금투자를 하는 분들이 많으시고, 최근 ESG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은 참고정도로면 사용하면 좋을것 같다.

 

 

 

4.Performance: 수익율

-1month total return: 한 달간 총 수익율

-YTD total return: 검색하는 오늘로부터 1년간 수익율

-5year total return: 5년간의 총 수익율

 

얼마나 높은 수익율을 내는지에 따라 분류가 되어있는데, 추세추종을 해서 오르는 말에 타겠다 하면 1달~3달의 기록을 확인하면 되고, 좀더 안정성있는 투자를 원한다면 5년~10년 정도로 검색하여 보면 된다. 물론 과거의 데이터는 현재를 반영해주지 않는다.

 

 

 

5.Isser: 발행자

-Brand: ETF 브랜드

 

좋아하는 브랜드가 있다면 따로 분리할 수 있다. 해외에 잘 알려진 글로벌한 기업만 투자하고 싶다면 인베스코, 블랙록, 뱅가드 등 익히 들어알고 있는 브랜드만 따로 소팅해서 볼 수 있다. 나는 브랜드는 딱히 따지지 않으므로, 따로 설정은 하지 않았다.

 

 


 

2. 검색한 ETF 살펴보기

내가 원하는 조건을 세가지 정도 넣어보니 1)Asset: class-equity 2)Economic Development: Emerging market 3)5year total return: 20.00-100.00% 아래와 같이 네개의 ETF 결과가 나왔다. 주식에 투자하고, 이머징 마켓 시장에 투자하고, 5년간 수익이 최소 20%인 조건이다. 

 

 

 

 

 

 

 

 

 

그중 상단에서 Performance를 클릭하면 기간동안 높은 수익율을 다시 소팅할 수 있다. 제일 높은수익율은 브라질 소형주인데, 한번 더 거르려고 한다. 1)국가는 중국 위주로 투자하고 싶다 2)1년간 퍼포먼스가 좋았던 ETF에 투자하고 싶다. 라고 다시 거르면 EMQQ랑 CHIQ 이렇게 두가지가 남게 되는것이다. 내가 투자하고 싶은 종목은 구체적으로 '인터넷'이니까 Emerging markets internet & Ecoomerce ETF인 EMQQ로 결정되는 것.

 

 

 

 

 

 


 

 

3. ETF와 ETF를 비교하기

제일 좋아하는 기능인 ETF와 ETF를 비교하는 기능. ETF Tools & Data로 ETF comparison tool를 클릭하면 ETF를 입력하는 검색 창이 두개가 보인다. 요즘 테크주 외에 개인의 소비와 관련된 주식을 분산투자하고 싶어서 DIA와 SPY를 비교해보려 한다. 

 

 

 

 

 

1.ETF Facts

-Issuer: 운용 회사

-Expense Ratio: 운용보수

-Asset under managetment: 운용 자금

-Number of holdings: 보유 종목


간단한 정보를 비교해볼 수 있다. 주로 운용되고 있는 자금이 얼마인지 (운용자금이 클 수록 추후에 매수매도해줄 사람이 많아서 거래가 편하다) 운용수수료가 적당한지 확인하면된다. 

 

 

 

 

 

 

아무래도 SPY는 미국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것이니 만큼, 운용수수료가 매우 저렴한 편이다. DIA는 0.16%로 SPY보다는 높은 편이지만, ETF에서는 0.8%를 넘지 않으면 비싼 편은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있다. 자산규모는 SPY가 15배 가까이 많은편이지만 DIA도 객관적으로 적지 않은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2.Performance

 

두가지의 수익율을 비교해볼수 있는데, 최근 꾸준히 SPY가 높았다. 아무래도 SPY가 DIA에 비해 기술주가 많이 담겨있어서가 아닌가 싶다. 

 

 

 

 

3.Portfolio

 

보유종목의 섹터를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아까의 수익율 차이에는 SPY가 테크주를 훨씬 많이 담고 있기 때문. 2번째부터 근소하게 갈리고 있는데 DIA는 헬스케어가 두번째로 많이 차지하고 있고 SPY는 경기민감주가 두번 째로 많기 때문. 나는 보통 ETF를 고를때 어떤 섹터에 비중이 더 높은지를 보고 1차적으로 걸러낸다.

 

 

 

 

 

 

더 내리면 ETF가 보유하고 있는 각 종목을 확인 할수 있다. 비중이 높은 10가지 항목들을 소개해주었는데, SPY는 시장을 그대로 추종하기 때문에 애플이 1위인걸 볼 수 있다. 나는 2차적으로 거를때 내가 원하는 기업의 비중을 보고 비중이 많은 쪽을 택하고는 한다. 게다가 개별로 기업을 보여주기 때문에, ETF를 뭉텅이로 사더라도 보유종목의 10개정도는 개별로 공부해보면 좋다.

 

 

 

 

 

 

4.Factors

 

해당 종목이 각항목의 퍼포먼스를 내고 있는 주식이 어느정도 비중으로 실려있는지 알 수 있다. 1.저평가 되어있는 항목 2.시총이 작은 회사 3.최근 추세가 상승 추세인 주식 4.건전한 대차대조표를 가지고 있는 주식 4.현금흐름 현황, 5.낮은변동성(=낮은 위험성). 보면 저평가 항목은 비슷하고, DIA쪽이 시총이 작은 종목들이 많고, 상승추세인 주식은 적게 들어가 있다. 대차대조표는 DIA가 건전하며, 변동성은 DIA가 더적은걸 확인 할 수 있다.

 

 

 

 

 

 

 

6.ESG Metrics

 

ESG항목에서 어느정도 평가를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CCC에서 AAA등급이 있는데 AAA에 가까울수록 높은 등급이다. ESG는 환경변화에 얼마나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지, 사회에 어떻게 환원하고 불평등에 관심이 있는지, 주주환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등 복합적인 요소로 표현된다. ESG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대두되고 있으니 이 항목도 살펴보면 좋을듯. DIA와 SPY는 같은 등급이다. 

 

 

 

 

ESG투자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로>>

 

ESG투자 - ESG란 무엇이고 어떤투자를 해야할까?

ESG. 인류 공공의 이익에 대한 투자 정도로 이해하고 있었다. 처음 접하게 된건 올해 1월쯤. 아무래도 9월 이후 미적지근한 빅테크주의 상승세나 국내의 ‘그린 뉴딜’, 전기차 광풍으로 비롯된

swnas98.tistory.com


 

[잡담]

이전에 EMQQ를 찾을 때에도 해당 ETF 툴을 사용하였다. 내가 투자하고 싶은 윤곽이 잡혔으나, 정확히 어떤 ETF에 투자를 할지 모를때 필터링해보면서 골라낼수 있는 좋은 사이트이다. 다른사람들이 좋다좋다해서 ETF를 마음먹었다가도 막상 ETF.com으로 살펴보면 내가 원하지 않는 종목이 들어있을수도 있고, 훨씬 더 나은 ETF를 발견할수도 있다. 오늘은 여기까지. 성투하세요!

 

 

EMQQ투자가 궁금하다면 여기로>>

 

이머징 마켓에 투자하고 싶지만, 중국 주식을 몰라서 EMQQ vs MCHI vs CNYA 비교해보기

내년 2021년에는 소박한 투자 계획을 추가했다. 바로 미국 시장에서 이머징마켓 (EM)으로 자산을 소량 배분하겠다는 것. 아무래도 달러가 약세이고 원화, 위안화가 강세인것으로 보아 달러가 이머

swnas98.tistory.com

 

 

 

*해당 포스팅은 정보제공의 목적으로, 법적인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매매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